반응형
삼우제(三虞祭)는 장례 후 3일째 되는 날 지내는 제사로, 고인의 넋이 저승길을 편안히 갈 수 있도록 돕고 가족들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삼우제에서 축문(祝文)은 조상을 향한 예를 갖춘 글이므로 전통적인 형식과 예법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삼우제 축문의 구성
축문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 강신(降神) 부분
- 신령을 모셔오는 부분입니다.
- 본문(축문 내용)
- 고인에게 삼우제를 지내는 이유를 설명하고, 가족들의 정성을 전합니다.
- 축문의 끝맺음
- 신령께서 흠향(음식을 받는 것)하시길 바라며, 다시 길을 가시라는 뜻을 담습니다.
삼우제 축문 작성 시 유의할 점
- 고인의 직위 및 관계 표기
- 아버지: "顯考 ○○府君 神位前"
- 어머니: "顯妣 孺人 ○○氏 神位前"
- 할아버지: "顯祖考" / 할머니: "顯祖妣"
- 일반적인 경우: "고(故) ○○○님"
- 격식을 갖추되, 가족들의 정성과 마음을 담아 작성
- 전통적인 한문 형식이 어려우면 현대적 한글식으로 작성해도 무방합니다.
- 마지막 인사를 강조
- 삼우제는 마지막으로 고인을 배웅하는 의미이므로 "편안히 가소서"라는 표현을 넣어 마무리합니다.
삼우제 축문 작성 가이드
축문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① 서문 (서두 부분)
축문의 시작을 알리는 부분으로, 제사를 올리는 날짜와 제사를 올리는 사람(자손)의 이름을 기재합니다.
維歲次 ○○年 ○月 ○日
이는 "○○년 ○월 ○일에"라는 의미입니다.
한글로는
○○년 ○월 ○일
② 강신(降神) - 신령을 모시는 부분
제사를 지내기 위해 고인의 혼을 초대하는 부분입니다.
孝孫(자손 이름)等 謹以 淸酌庶羞 伏惟
顯考 ○○府君(또는 顯妣 孺人) 神位前
"자손 ○○이 정갈한 술과 음식을 차려 고(故) ○○○님의 신위 앞에 삼가 고합니다."라는 뜻입니다.
한글로는
삼가 고(故) ○○○님의 신위 앞에 삼우제를 올립니다.
자손 ○○이 정성을 다해 제수를 차리고 삼가 고하나이다.
③ 본문 (삼우제를 지내는 이유와 애도의 마음 표현)
고인이 떠난 지 3일이 되어 삼우제를 지내는 이유를 설명하며, 애도의 마음과 정성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嗚呼! 人生如夢 歸路渺然
伏惟 昊天不弔 爲痛爲哀
寒食方過 三虞告奠
"아, 인생이란 꿈과 같고, 가는 길은 아득하나이다.
하늘이 우리를 도와주지 않으시니 슬픔과 애통함이 크나이다.
찬 서리가 내리고 삼우제를 올리는 날이 되었나이다." 라는 뜻입니다.
한글로는
아, 인생이란 한낱 꿈과 같아 가는 길이 머나먼데,
하늘이 우리를 도와주지 않으시니 아픔과 슬픔이 크나이다.
차가운 이슬이 내린 지도 벌써 삼일이 지나고,
삼우제를 올려 마지막 이별을 고하나이다.
④ 고인에 대한 마지막 인사 및 배웅
고인이 저승길을 편안히 갈 수 있도록 마지막으로 인사를 드리는 부분입니다.
孝孫等 敢以菲薄之誠
致伸餞別之禮
伏惟 神靈來臨 歆饗
謹言
"자손들이 비록 보잘것없는 정성이나마
마지막 이별을 고하는 예를 올리나이다.
부디 신령께서 흠향하시고 편안히 가시옵소서."
한글로는
사랑하고 공경하던 고인을 떠나보내는 이 자리에서
가족들이 정성을 다하여 조촐한 음식을 마련하였사오니
부디 흠향하시고 저승길을 편안히 가소서.
삼가 삼가 고하나이다.
삼우제 축문 예시
維歲次 ○○年 ○月 ○日
孝孫(자손 이름)等 謹以 淸酌庶羞 伏惟
顯考(또는 顯妣) ○○府君(또는 孺人) 神位前
敢昭告曰
嗚呼!
人生如夢 歸路渺然
伏惟 昊天不弔 爲痛爲哀
寒食方過 三虞告奠
孝孫等 敢以菲薄之誠
致伸餞別之禮
伏惟 神靈來臨 歆饗
謹言
○○년 ○월 ○일
삼가 고(故) ○○○님 앞에 삼우제를 올립니다.
아, 인생이란 한낱 꿈과 같아 가는 길이 머나먼데,
하늘이 우리를 도와주지 않으시니 아픔과 슬픔이 크나이다.
차가운 이슬이 내린 지도 벌써 삼일이 지나고,
삼우제를 올려 마지막 이별을 고하나이다.
사랑하고 공경하던 고인을 떠나보내는 이 자리에서
가족들이 정성을 다하여 조촐한 음식을 마련하였사오니
부디 흠향하시고 저승길을 편안히 가소서.
삼가 삼가 고하나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