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부 사이니까 세금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셨다면 오산입니다. 특히 부부간 부동산 증여 시 취득세는 놓치기 쉬운 세목이지만, 생각보다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부부간 증여 취득세율, 실제 사례, 절세 전략, 그리고 실용 정보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특히 부동산은 증여세 + 취득세 이중 과세 대상이므로, 사전에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부간 증여
많은 분들이 “부부는 가족인데 증여세가 없지 않나?”라고 오해하시지만, 실제로는 증여세(국세)와 취득세(지방세)가 모두 부과됩니다.
- 증여세: 배우자에게 10년간 6억 원까지 면제 가능 (단, 초과분에 대해 과세)
- 취득세: 증여 금액과 무관하게 무조건 부과
즉, 아파트를 배우자에게 증여할 경우 증여세 + 취득세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부부간 증여시 취득세율
부부간이라도 취득세는 일반적인 증여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증여 유형 | 취득세율 | 주요 비고 |
일반 주택 (1주택자) | 3.5% | 수도권 외 지역도 동일 |
조정대상지역 + 2주택 이상 | 최대 12% | 고율 중과세 적용 |
상가·토지 | 4% | 별도 가산 없음 |
부동산 외 금융자산(예: 예금, 주식) 증여 시 취득세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남편이 아내에게 시가 5억 원짜리 아파트를 증여할 경우, 아내는 1,750만 원(5억 × 3.5%)의 취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취득세 자동 계산기
부동산 증여 시 발생하는 취득세는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증여 금액, 부동산 위치, 보유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단순 계산만으로는 정확한 세액을 알기 어렵습니다. 이럴 땐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기본 정보만 입력하면 증여세와 취득세를 한 번에 계산할 수 있어, 미리 세금 부담을 예측하고 절세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실수 없이 신고하고 싶다면 꼭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삼쩜삼 – 세금 신고 도우미, 증여세 계산 가능
- 국세청 홈택스 > 증여세 계산기 – 공식 계산기
- 부동산계산기.com > 증여세 계산기 – 간편하게 결과 확인 가능
부부간 증여 취득세 절세 전략
✅ 증여세 공제 한도 활용
배우자에게 6억 원까지 비과세 가능. 단, 취득세는 여전히 발생
✅ 분할 증여 활용
한 번에 고가 부동산을 증여하기보단 2~3년에 걸쳐 나누는 방식 추천
→ 취득세율은 동일하지만, 증여세 누진세율 회피에 효과적
✅ 취득세 신고기한 철저히 관리
증여일로부터 60일 이내 미신고 시, 최대 20% 가산세 부과
자주 묻는 질문 (Q&A)
Q. 부부간 생활비 명목으로 부동산을 증여하면 세금이 없나요?
- 아닙니다. ‘생활비’는 현금이나 카드로 지급된 일상적 소비만 해당하며, 부동산 증여는 무조건 취득세 발생 대상입니다.
Q.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전환하면 취득세를 피할 수 있나요?
- 공동명의로 바꾸는 것도 실질적으로는 증여로 간주되며 취득세와 증여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부부 공동명의인데 한 명 앞으로 단독 명의 변경 시는?
- 이 역시 증여로 판단되어 취득세 부과 대상입니다.
부부간의 재산 이전은 신뢰와 사랑의 표현일 수 있지만, 세금이라는 현실적 장벽이 존재합니다. 특히 취득세는 부동산을 증여하는 순간 반드시 따라오는 비용이므로, 사전 계획과 전문가 상담을 통해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